
기존 임피 컨셉의 디태치인 앤빌 시즈 포스가 아닌, 1중대 태스크 포스를 리메이크한 디태치먼트가 되겠습니다.
스젬과 인핸스먼트를 통해 터미네이터 / 블가베 / 스턴가드 / 뱅베 유닛을 위주로 혜택을 주는,
말 그대로 1중대 베테랑들을 위한 디태치먼트입니다.

1. 오스 오브 모먼트 능력을 가진 당신의 유닛이(즉, 당신의 스마 유닛) 오스 오브 모먼트의 대상을 공격할 때 마다,
당신은 운드 롤에서 1이 뜬 주사위를 리롤할 수 있다.
2. 당신의 다나스 라이샌더의 유닛이 공격을 할 때 마다,
그 대상이 오스 오브 모먼트의 대상이라면, 당신은 운드 롤을 전부 리롤할 수 있다.
제한 : 당신은 임페리얼 피스트의 유닛을 투입할 수 있으나,
다른 챕터의 아뎁투스 아스타르테스 유닛을 투입할 수 없다.
-> 이러면 라이샌더의 유닛은
오오모를 통해 명중 굴림도 풀 리롤, 디태치 룰로 운드 롤도 풀 리롤,
코덱마니까 운드 롤에 +1 보정도 받게됩니다.

1. 다나스 라이샌더는 터미네이터 캐릭터이다. 터미네이터는 1중대의 특권(크룩스 터미나투스)이다.
이번에 라이샌더 신조형도 내주니까, 1중대 디태치를 손보자!
2. 곧 어썰터미의 신조형 발매를 앞두고 있기 때문에, 터미네이터를 특화할 수 있는 1중대 디태치를 손보자!
3. 앤빌 시즈보다 1중대 디태치가 더 답없는 쓰레기 디태치니까, 이걸 손봐주자!
...이어서 인핸스먼트 살펴보겠습니다.

아뎁투스 아스타르테스 모델만 부여 가능
부여자의 근접 무장의 A(공격 횟수)를 1씩 늘린다.
게임 당 1번만, 아무 페이즈 시작 시기에 부여자는 본 인핸스먼트를 발동할 수 있다.
그럴 경우, 페이즈 종료 시까지 부여자의 모든 모델의 근접 무장의 A를 1씩 늘린다.
-> 캡틴 or 채플린에게 부여해주면 좋을 거 같은 인핸스입니다.
마침 블가베 / 어썰터미 / 뱅베에게 합류할 수 있는 온풋 / 터미 / 점프팩 캡틴, 채플린이 10판 코덱스에 생존해있는 상황
아니면, 로망픽으로서 터미 엔션트에게 부여하여 라이샌더의 어썰터미 분대에 추가 합류,
이후 1회용이지만 인핸스먼트 능력을 통해 라이샌더 분대의 파괴력을 더 증가시키는 방법도 있겠습니다.

아뎁투스 아스타르테스 터미네이터 모델에게만 부여 가능
부여자의 Oc(오브젝트 컨트롤)을 1 증가한다.
게임 당 1번만, 아무 페이즈 시작 시기에 부여자는 본 인핸스먼트를 발동할 수 있다.
그럴 경우, 페이즈 종료 시까지 부여자 이외의 부여자의 모든 모델의 Oc를 1씩 늘린다.
-> 터미 분대를 옵젝마커에 투입하는데, 경쟁 중인 적 유닛을 전멸시키지 못했다?
이런 상황은 주사위 운이 억수로 없거나, 킬각 계산 자체가 잘못된 결과물이기에 결코 상정되어서는 안되는 상황입니다.
고로 본 인핸스먼트의 효용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높아진 Oc로 점령 경쟁을 할 게 아니라, 아예 경쟁 중인 적 유닛을 깔끔히 지워서 옵젝을 탈취해야하기 때문

아뎁투스 아스타르테스 터미네이터 모델에게만 부여 가능
부여자가 처음 파괴되었을 때, 페이즈 종료 시기에 D6 1개를 굴린다.
2+ 이상일 경우, 부여자를 상대 인게이지먼트 레인지(근접전 범위)를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파괴된 자리에 가능한 가까운 위치에 부여자를 3운드를 남긴 채 부활시킨다.
-> T5, 2+, 4++ 최소 5운드(스톰 쉴드를 들었거나, 캡틴은 6운드)의 터미네이터 캐릭터가 3운드로 부활합니다.
채플린과 라이브러리안은 모든 능력이 유닛을 리딩(지휘)해야하는 제약이 있으니?
만약 본 인핸스의 사용을 원하신다면,
홀로 부활하더라도 온전히 사용이 가능한 터미 캡틴에게 부여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뎁투스 아스타르테스 엔션트 모델에게만 부여 가능
부여자의 유닛이 공격당할 때 마다, 만약 부여자의 유닛의 T(강인함) 수치보다 높은 공격이 적용된다면,
운드 롤 -1 디버프를 강제한다.
-> 현재 10판 코덱스에서 엔션트는 온풋 / 블가베 / 터미 엔션트가 있는데...
라이샌더는 이미 이 스젬과 동일한 능력을 본인이 가지고 있다보니,
블가베나 어썰터미에 본 인핸스를 부여한 엔션트를 붙여, 탱킹 유닛으로 쓰라는 목적이 아닌가 싶습니다.

스마 공통의 스트라타젬, AOC(아머 오브 컨템트)는 임피와 레가 모두 수록되었습니다.
AOC(1번만, 들어오는 공격의 장갑 관통을 1씩 완화)는 너무 유명하니 생략합니다.
1. 퓨리 오브 더 퍼스트
소모값 : 1CP
시기 : 당신의 사격 페이즈 or 파이트 페이즈
대상 : 아직 사격 혹은 파이트를 진행하지 않은,
당신의 터미네이터 / 블레이드가드 / 스턴가드 / 뱅가드 베테랑 중 1개 유닛
효과 : 페이즈 종료까지, 대상 유닛이 공격할 때 마다, 명중 굴림에 +1 보정을 한다.
만약 그 유닛이 스타트 스트렝스 미만(다모델 1유닛이면 모델 하나가 죽은 시점부터,)이라면 운드 롤에도 +1 보정을 한다.
-> 베테랑을 베테랑 답게(명중률 증가) 만드는 스젬입니다.
조건부이지만, 운드 롤도 +1이 달려있어 오오모 의존도를 줄여주는 좋은 스젬입니다.
라이샌더의 유닛에게 오오모 타겟을 양보하고(디태치 룰 적용을 위해),
나머지 베테랑 유닛은 본 스젬을 통해 화력을 극대화하라는 의도가 담겨있는 것 같습니다.

소모값 : 1CP
시기 : 파이트 페이즈, 적 유닛이 파이트 대상을 지정한 직후
대상 :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적 유닛에게 파이트 대상으로 지정당한
당신의 터미네이터 / 블레이드가드 / 스턴가드 / 뱅가드 베테랑 중 1개 유닛
효과 : 페이즈 종료까지, 당신의 유닛이 파괴될 때마다,
만약 그 유닛이 파이트를 하지 않았다면 D6 1개를 굴린다.
결과값이 3+일 경우, 그 파괴된 모델은 공격자 유닛이 공격을 마친 후에, 파이트를 진행하고 게임에서 제거한다.
-> 흔히 말하는 파이트 온 데스 스젬입니다.
베테랑답게 4+이 아닌, 3+로 파이트 온 데스를 실행할 권리를 가집니다.

소모값 : 1CP
시기 : 당신의 이동 페이즈
대상 : 당신이 점령한 오브젝트 마커 범위 내(within)에 있던,
당신의 터미네이터 / 블레이드가드 / 스턴가드 / 뱅가드 베테랑 중 1개 유닛
효과 : 그 오브젝트 마커는 당신의 유닛이 위치해있지 않더라도 점령이 유지된다. (상대방이 탈취하기 이전까지)
-> 흔히 말하는 스티키 오브젝트 능력을 스젬으로 구현한 경우입니다.
사만은 에오지와 다르게 마커에 유닛이 없으면 점령이 풀리기 때문에,
이러한 스티키 오브젝트 능력은 땅따먹기가 중요한 사만에서 굉장히 좋은 요소로 작용합니다.

소모값 : 1CP
대상 : 이번 페이즈 동안 아직 사격하지 않은,
당신의 터미네이터 / 블레이드가드 / 스턴가드 / 뱅가드 베테랑 중 1개 유닛
효과 : 페이즈 종료까지, 대상 유닛의 사격 무장은 이그노어 커버 능력을 받으며, AP(장갑 관통)가 1씩 증가한다.
-> 베테랑 중 사격 능력이 제일 출중한 스턴가드 베테랑에게 쥐어주기 딱 좋은 스젬입니다.
스턴가드가 해당 스젬을 받으면, AP-2 볼트 라이플/헤비 볼터를 커버 보너스를 무시하고 꽂을 수 있게 됩니다.

소모값 : 1CP
시기 : 상대 파이트 페이즈 종료 시기
대상 : 하나 이상의 상대 유닛의 인게이지먼트 레인지(근접전 범위) 내에 있지 않은, 당신의 터미네이터 유닛 하나
효과 : 대상 유닛을 전장에서 제거하고, 스트래티직 리저브(예비대)로 위치시킨다.
-> 뱅가드 스피어헤드의 게릴라 택틱스가 연상되는 리저브 복귀 스젬입니다.
대상이 터미네이터인지라, 라이샌더의 터미네이터 분대가 해당 스젬을 통해 리저브로 복귀,
이후 재딥스를 거쳐 적재적소에 전장에 재배치하라는 의도가 담겨있다 생각이 듭니다.

우선 라이샌더에게 붙여줄 어썰터미 한 유닛은 필수겠으며,
(라이샌더는 원거리 무장이 없습니다)
이번에 포인트 할인 덕에 일부 플레이어들의 손에서 활약 중인 뱅베의 다수 투입을 고려해봄직 하겠습니다.

이러면 오오모 대상에게 운드 롤 풀 리롤을 받는 스턴가드와 직접적으로 충돌하게 됩니다.
그게 아니더라도 베테랑들의 운드 1 리롤이냐 vs 라이샌더의 운드 풀 리롤이냐의 충돌이 발생하는 점이 꽤나 아쉽습니다.
가장 피해자가 될 스턴가드를 위해 보상으로 디시플린드 익스터미네이션을 준게 아닌가 싶습니다만...
차라리 오오모 대상이 아니더라도 운드 풀 리롤을 받게끔 조정해주는 스젬을 받았다면 더 각광받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아니면 화끈하게 길리먼이나 다크 엔젤의 래스락 디태치처럼,
오오모 타겟을 조건부로 2개로 늘려주는 스젬이 있었다면 아주 강력한 디태치가 되지 않았을 까 싶습니다.
추천 투입 유닛 : 라이샌더 + 어썰터미 / 뱅베 / 스턴가드 / 블레이드가드 / 캡틴


쉴드를 들어서 그런지 터미 캡틴보다 1운드 많은 7운드의 체력,
그리고 여전히 무시무시한 2+ 힛의 S10 썬더 해머, 피스트 오브 돈이 돋보입니다.
어빌리티로는 게임 당 1번만, 페이즈 시작 시기에 발동하여 종료 시기까지 본인이 2인불을 받는 생존기, 램파트를 보유하며,
본인의 유닛의 T(강인함) '이상'의 S(힘)의 공격에 운드 롤 -1을 강요하는 아이콘 오브 옵스티내시를 보유합니다.
(S = T, 동급의 무기에도 운드 롤 디버프를 건다는 뜻)
-> 개인적으로는 어썰터미에 합류하여 래피드 인그레스로 상대 턴에 강하,
이후 턴을 받아 일반적인 이동 후 오오모 타겟에게 차지각을 노리는 플레이가 요구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런 플레이는 터미네이터라서 이동거리가 1인치 딸리는 것을 커버하기 위해서라도 필요하겠습니다.
728x90
'워해머 40k > 소식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트 오브 워) 불칸 헤스탄 + 신규 샐러맨더 디태치먼트 유출 (5) | 2025.08.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