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러드보울에는 여러가지 특수행동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비밀병기선수들은 이 특수행동을 사용할 수 있는데, 퇴장을 감수하고도 사용할 정도로 강력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저렴한 스타플레이어들중에서도 이 행동들을 메인으로 하는 선수들이 많기 때문에 알아두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들을 몇가지 알아보겠습니다.
볼 앤 체인
이 스킬을 가지고있는 선수는 오직 '볼 앤 체인 이동' 특수행동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턴마다 팀당 이 행동을 몇번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제한은 없습니다.
- 쓰로우 인 템플릿을 선수 위에 올려놓습니다. 양쪽 엔드존이나 양쪽 사이드라인중 한곳을 향하게 놓습니다.
- d6 다이스를 굴립니다. 선수를 해당칸으로 이동시킵니다.
- 선수가 이동할때 회피(Dodge)테스트를 자동으로 성공합니다.
- 이 선수가 해당 행동으로 경기장 밖으로 나가게 된다면 즉시 관중들에게 부상을 입습니다.
- 이 행동으로 공이 떨어져있는 칸으로 이동한다면 비 자발적으로 이동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공 줍기 테스트를 진행하지 않고 공은 튕깁니다.
이 선수가 양팀의 서있는 선수가 있는칸으로 이동시 일반적인 블락 규칙을 따르되 아래 예외사항을 적용합니다.
- 볼앤체인 선수는 '불결한 외모(Foul Appearance)' 스킬을 무시합니다.
- 볼앤체인 선수는 블락으로 상대를 밀어내면 반드시 추격해야 합니다.
이 선수가 양팀의 엎드리거나 기절한 선수가 있는 칸으로 이동하면 해당 선수는 즉시 밀려나고 아머롤을 굴립니다.
이 선수는 돌진(Rush) 할 수 있습니다. 선수 위에 쓰로우 인 템플릿을 놓고 방향을 결정하기 전에 돌진을 선언합니다.
볼앤체인 선수가 빈칸으로 돌진 후 d6주사위를 굴려 러쉬테스트를 합니다.
2+에 선수는 문제없이 돌진합니다.
1에 선수는 넘어집니다(Falls over).
볼앤체인 선수가 어떤 선수가 있는 칸으로 돌진 후 d6주사위를 굴려 러쉬테스트를 합니다.
2+에 선수는 문제없이 위처럼 블락행동을 진행합니다.
1에 목적지 칸에 있던 선수는 밀려나고 볼앤체인 선수는 해당 칸으로 이동하고 넘어집니다.
만약 이 선수가 넘어지거나 넉다운, 혹은 엎어진다면 이 선수는 아머롤을 굴리지 않고 부상롤을 굴립니다. 기절값에도 선수는 ko박스로 이동합니다.
볼앤체인 선수는 Diving Tackle, Frenzy, Grab, Leap, Multiple Block, On the Ball, Shadowing 스킬을 가질수 없습니다.
이 스킬은 선수가 엎어지거나 넘어졌을때, 태클존을 상실했을때도 발동합니다.
볼앤체인 선수는 블록을 진행할 수 있는 특수행동을 한턴에 최대 '선수의 이동수치(MA)+러쉬2회' 번씩 사용할 수 있는 스킬입니다. 몇칸 거리에 있는 적에게도 블리츠 행동 소모 없이 이동해 공격할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볼앤체인 선수는 힘 수치가 7로 빅가이 이상의 힘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이동이 무작위이고 아군을 공격할때도 있으며, 한번만 넘어져도 즉시 더그아웃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조심해서 사용해야 하는 선수입니다.
보통 비밀병기(Secret Weapon)스킬을 동반합니다.
전기톱(CHAINSAW)
이 선수는 블락행동(단독 혹은 블리츠액션의 일부)를 수행하는 대신 '전기톱 공격' 특수행동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블락 액션처럼 한명의 서있는 선수를 전기톱 공격의 대상으로 지정합니다.
턴마다 팀당 이 행동을 몇번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제한은 없습니다.
전기톱 공격을 사용할때 d6주사위를 굴립니다.
- 2+에 지정된 목표가 전기톱에 맞았습니다.
- 1에 전기톱은 킥백(kick-back)하고 전기톱은 본인을 향합니다. 턴오버가 발생합니다.
- 두 경우 모두 전기톱에 맞는 대상에게 아머롤을 만들고 +3을 추가합니다.
- 아머롤이 성공하면 엎드린 자세가 되며 이어서 부상롤을 굴립니다. 이 부상롤은 어떤 방식으로도 수정될 수 없습니다.
- 아머롤이 실패하면 아무일도 벌어지지 않습니다.
한 선수는 전기톱을 한번만 사용할 수 있으며(즉, 전기톱은 frenzy나 multiple block과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블리츠액션의 일부로 사용 후 이동할 수 없습니다.
이 선수가 넘어지거나 넉다운되면 상대선수는 아머롤에 +3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상대 선수가 이 선수를 대상으로 블락 액션을 수행하고 공격자 다운이나 수비자 다운을 고르면 아머롤에 +3을 적용합니다. 모두 다운 결과에 두 아머롤에 모두 +3을 적용합니다.
마지막으로 이 선수는 파울 행동에 전기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 설명대로 d6를 굴립니다. 전기톱을 맞은 선수를 상대로 아머롤에 +3을 적용합니다.
전기톱은 상대의 힘이 몇이든 2+로 +3값이 적용된 아머롤을 굴릴 수 있는 강력한 스킬입니다. 굉장히 강력한 스킬이지만 반대로 이 선수가 아머롤을 굴릴때도 늘 +3값이 적용되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또한 블리츠로 치고 빠지려 해도 전기톱공격 이후에는 이동을 할 수 없어 쉽지 않습니다.
보통 비밀병기(Secret Weapon)스킬을 동반합니다.
폭탄던지기(BOMBARDIER)
이 스킬을 가진 선수가 활성화될때 이 선수는 폭탄던지기 특수행동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특수행동은 패스나 팀원던지기가 행동이 아닙니다. 하지만 이 특수행동은 팀마다 턴당 한 선수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폭탄을 던질수 있습니다. 패스행동과 같은 규칙으로 공처럼 던지며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 플레이어는 폭탄던지기 행동 전에 일어나거나 움직이지 않아야 합니다.
- 폭탄은 튕기지 않으며 칸에 정지합니다. 선수가 있는 칸에 폭탄이 떨어질때 선수가 폭탄을 잡지 못하면 폭탄은 그 선수가 점유한 칸에 떨어집니다.
- 폭탄던지기가 실패한다면(fumbled) 던지려던 폭탄은 그자리에서 즉시 폭발합니다.
- 폭탄은 공과달리 바닥에서 멈추거나 상대선수가 잡아도 턴오버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패스행동을 수행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스킬은 공을 던질때가 아닌 폭탄던지기 행동을 수행할 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폭탄이 양 팀의 선수에게 잡히면 d6를 굴립니다.
- 4+에 폭탄은 즉시 아래 설명처럼 폭발합니다.
- 1-3에 선수는 즉시 폭탄을 다시 던져야 합니다.
폭탄이 경기장을 떠나면 군중이 그 폭탄을 던지기 전에 폭발해 경기에 영향을 끼칠 수 없게됩니다.
폭탄이 선수가 점유하는 칸에서 폭발한다면 그 선수는 자동으로 폭발에 당합니다.
폭탄이 폭발한 칸과 인접한 칸을 점유하는 모든 선수는 d6주사위를 굴립니다.
4+에 선수는 폭발에 당합니다.
1~3에 선수는 폭발을 피합니다.
폭발에 당한 일어나있는 선수둘은 모두 넉다운됩니다.
폭발에 당한 선수가 이미 엎드리거나 기절해 있더라도 아머롤을 굴립니다.
아머롤이나 부상롤에 +1값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폭탄던지기를 하는 선수가 폭탄에 의해 엎어지거나 폭탄던지기가 실패(fumbled)한다면 턴오버가 발생합니다.
폭탄던지기는 한번에 여러 적들을 엎어지게 할 수 있는 좋은 수단입니다. 하지만 민첩과 패스력이 강점인 팀에게는 역으로 당할 확률도 있습니다.
폭탄던지기 선수가 있는것 만으로도 상대의 케이지 전략을 견제할 수 있는것도 장점입니다.
보통 비밀병기(Secret Weapon)스킬을 동반합니다.
토사물 발사(PROJECTILE VOMIT)
이 선수는 블락행동(단독 혹은 블리츠액션의 일부)를 수행하는 대신 '토사물 발사' 특수행동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블락 액션처럼 한명의 서있는 선수를 토사물 발사의 대상으로 지정합니다. 턴마다 팀당 이 행동을 몇번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제한은 없습니다.
토사물 발사 행동을 수행하려면 d6 주사위를 굴립니다.
- 2+에 지정된 표적을 향해 산성 담즙을 역류시킵니다.
- 1에 이 선수는 트림하고 코를 골다가 산성 담즙을 뒤집어 씁니다.
- 어느 경우든 토사물을 맞은 선수는 아머롤이 만들어집니다. 이 아머롤은 어떤식으로도 수정값을 적용하지 못합니다.
- 선수의 아머롤이 성공하면 부상롤을 만듭니다. 이 부상롤은 어떤식으로도 수정값을 적용하지 못합니다.
- 아머롤이 성공하지 않으면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습니다.
선수는 턴당 한번만 이 특수행동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즉, 토사물 발사는 frenzy나 multiple block과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범용 빅가이중 하나인 트롤이 가지고 있는 토사물 발사입니다. 힘이 5에 마이티블로우까지 있는 트롤이다 보니 블락 대체로 이 행동을 사용할 상황은 드뭅니다. 하지만 힘싸움에 밀려 블락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상대 아머가 낮은 선수에게 시도해볼만 합니다. 만약 롤에서 1이 나오더라도 아머 10짜리 트롤이 부상을 입을 확률은 극히 드뭅니다.
찌르기(STAB)
이 선수는 블락행동(단독 혹은 블리츠액션의 일부)를 수행하는 대신 '찌르기' 특수행동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블락 액션처럼 한명의 서있는 선수를 찌르기의 대상으로 지정합니다. 턴마다 팀당 이 행동을 몇번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제한은 없습니다.
찌르기 특수 행동을 하면 대상에게 즉시 수정값이 적용되지 않는 아머롤을 만듭니다.
- 아머롤이 성공하면 대상 선수는 즉시 엎드리고 부상롤을 만듭니다. 이 부상롤은 어떤식으로도 수정값을 적용하지 못합니다.
- 아머롤이 성공하지 않으면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습니다.
- 찌르기를 블리츠 액션의 일부로 사용하면 선수는 찌르기 후에 계속 이동할 수 없습니다.
찌르기는 선수를 넘어뜨릴 확률도 낮고 부상을 입히는것도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패널티가 거의 없다시피한 행동이기 때문에 턴의 초반에 쓰기 좋습니다. 또 아머가 낮은 선수에게는 의외로 높은 성공률을 보이기도 합니다.
팀원 걷어차기(KICK TEAM-MATE)
턴마다 한번씩 다른 팀원이 패스 또는 팀원던지기 행동을 수행하는것 외에도 이 스킬을 가진 선수가 팀원 걷어차기 특수 행동을 수행해 인접한 칸의 적합한 선수를 걷어차려고 시도할 수 있습니다.
팀원 걷어차기 특수행동은 팀원 던지기의 규칙을 따릅니다.
하지만 팀원 걷어차기 행동이 실패하는(fumbled) 경우 걷어차인 선수는 자동으로 경기에서 제외됩니다. 해당 선수에게 부상롤을 만듭니다. 이때 기절 결과는 ko로 바뀝니다.(이 행동을 수행한 선수가 마이티 블로우(+X)스킬을 가지고 있다면 , 상대 플레이어는 이 부상롤에 그 스킬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걷어차인 선수가 경기에서 제외될 때 공을 소지하고 있었다면 공은 선수가 점유하던 칸에서 튕겨나갑니다.
팀원 던지기의 걷어차기 버전입니다. 패스나 팀원 던지기와 행동을 공유하지 않기때문에 패스나 팀원던지기를 수행한 턴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험부담이 약간 늘었지만 패스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것은 큰 이점이 됩니다.
위의 행동들 외에도 여러가지 특수행동들이 있지만 이정도만 알아둬도 여러 스타플레이어나 반칙선수들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스포츠가 맞는지 의심가는 스킬들이 다수 있지만 이것들을 사용하는것도 블러드 보울의 재미중 하나입니다. 잘 숙지해두고 결정적인 순간 조커카드로 사용해보세요.
'미니어처 게임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보의 구원과 나락: 리롤과 턴오버, 간단한 유인책들 - CW (0) | 2025.02.23 |
---|---|
블러드 보울... 앱없음?? - CW (0) | 2025.02.23 |
블러드보울 인게임 가이드 2편 - CW (0) | 2025.02.22 |
블러드보울 인게임 가이드 1편 - CW (0) | 2025.02.22 |
블러드보울(blood bowl)이 뭐임? - CW (0) | 2025.02.22 |
오늘의 히오스 - 사자무쌍(Lion Rampant) (0) | 2024.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