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대의 로스터
10판 엘다 코덱스 최고 아웃풋인 인나리입니다.
에픽 히어로(네임드) 캐릭터 유닛은 이브레인 / 비자크 / 인카른 삼두정만 투입 가능한 제약이 있습니다.
즉, 피닉스 로드를 못 쓰는 대신에 엘다의 종특인 '배틀 포커스'가 일부 강화되며,
아군 유닛이 상대 사격 페이즈에 파괴된다면 유닛을 골라 일반 이동을 실시하는 등...
'모르면 맞아야지'의 대표격인 엘다의 전략전술이 더욱 강화되는 디태치먼트라 할 수 있겠습니다.
실제로 요새 대회 입상은 인나리로 거진 다 해먹고 있는 것을 보면
현 로어에서의 찬밥 취급을 여기서 다 푸는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강력하기 그지 없습니다.

인카른
이브레인 + 비자크 + 인나리 인큐비 10명
아우타크 + 파이어 드래곤 5명 + 팔콘
아우타크 + 파이어 드래곤 5명
스피릿시어
레이스로드
다크 리퍼 5x2
하울링 밴시 5명
샤이닝 스피어 3명
레인저 5명
워프 스파이더 5명
파이어 프리즘

커가의 로스터
신규 디태치 라이온 오브 디 엠페러입니다.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주변 아군이 6인치 이내에만 없다면,
명중 굴림 +1 / 운드 롤 +1을 동시에 주는 잼민이 디태치 룰을 자랑합니다.
디태치 룰의 대상에 기갑(비클)이 제외되기에, 사실상 ALL 보병으로 로스터를 준비했습니다.
젯바이크 쉴드-캡틴 + 베르투스 프레이토르 2인
(알라루스 쉴드-캡틴 + 알라루스 터미네이터 3인)x2
인퀴지터 드락서스 + 커스토디안 가드 5명
블레이드 챔피언 + 커스토디안 가드 4명
커스토디안 가드 4x2
사지타룸 커스토디안 5명
프로세큐터 4인
위치시커 4x2
준비 간 실수로 블레이드 챔피언이 끼어들어가 핸디캡 매치가 되어버렸으나...
게임 결과를 통해, 120포인트가 더 들어간건 정말로 아무 상관 없게 되었습니다.


미션과 배치
전형적인 땅따먹기 게임인 린치핀이 걸렸으나,
하필 배치는 서로의 군대가 한 지역 내에 밀집할 수 밖에 없는 서치 앤 디스트로이가 걸립니다.
기동력에서 엘다와 압도적인 차이가 나는 커가입니다.
뚜벅이답게 최대한 뛰어나가기 위해,
그리고 디태치 룰을 최대한 살려보기 위해 울며 겨자먹기로 전진배치를 합니다.
선턴을 잡지 못하면 원사이드하게 게임이 밀릴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어떻게든 선공을 잡고자 했으나...


선공 굴림 1 vs 6이라는 압도적인 차이로 인해 선공은 엘다가 가져갑니다.
* 워해머 40k는 선공 굴림이 더 높은 쪽이 선공을 가져갑니다.

1라운드 엘다의 턴
미션은 컨테이먼트 / 사보타지
저기 동그라미들로 말하자면...
이동 간 주사위 굴림에서 6이 뜨니, 그대로 전장을 장악해버린 인나리의 모습입니다.

팔콘이 종특 배틀 포커스의 스타 엔진을 발동, D6+1 = 7 + 기본 14인치의 무브를 받아,
총 21인치를 날아와서는 탑승 중이던 아우타크 + 파이어 드래곤 분대를 커가 코 앞에 토해냅니다.
그리고 이들은 플리팅 섀도우즈 배틀 포커스를 받아 파이어 오버워치(경계사격)에 면역입니다.
이후에는 원채 발이 빠른 인큐비인지라,
어드밴스* 굴림 6이 뜬 하울링 밴시와 함께 전장의 오브젝트 마커를 장악해버린 모습까지...
---
* 어드밴스 : 일반 이동 대신 사용 가능하며, 본인의 이동거리에 D6만큼 추가하여 이동합니다.
대신, 어드밴스를 마쳤다면 사격과 차지가 불가능합니다.

선행 배치(인필트레이터)를 통해 오브젝트 마커를 점령하던 레인저 분대로 인해,
엘다는 첫 턴부터 총 3개의 오브젝트 마커를 점령합니다.
최중요 타겟인 파이어 드래곤은 오버워치로 견제할 수 없는 상황에,
나머지 상대 유닛들은 건물 안에 있으니 사각이 잡히지 않는 문제가 발생
커가는 이를 뚫기 위해 직접 발로 뛰어가야만 합니다.
벌써부터 알파 스트라이크(스폰킬) 각이 너무 아름답게 떠버려서 멘탈이 흔들리는 커가입니다.


커스토디안 가드는 방어력이 뛰어난 팩션입니다.
전 팩션을 통틀어 최상급의 2+ 세이브를 기본으로 가지고 있으며,
설령 장갑관통으로 이를 뚫으려해도 4인불 세이브* 를 통해 또 다시 공격을 막을 기회가 있습니다만...
456이 안뜨면 아무래도 상관없는 것이 바로 엘다의 무식한 화력
상대와의 압도적인 주사위 운 차이를 보여주며 세이브를 굴린 결과...
---
* 인불 세이브(인불) : Sv 수치를 대신하여, 즉 취사선택하여 세이브 쓰로에 사용 가능한 또 다른 Sv입니다.
인불은 상대 무기의 장갑 관통을 무시하기 때문에, 가지고 있으면 무조건 좋습니다.

1라운드 만에 쵸비사아아아아앙
선공을 뺏긴 전진 배치의 업보를 고스란히 돌려받습니다.
팔콘에서 내뱉어진 파이어 드래곤 분대는 멜타로 총 30 데미지를 누적
쉴드-캡틴 째로 제 오토바이 분대를 전멸시켜버립니다.
그 누구가 팔콘이 21인치를 날아와서 파이어 드래곤을 뱉어버릴 거라 생각했을까요?

이외에도 다크 리퍼와 파이어 프리즘, 팔콘, 레이스 로드를 비롯한 엘다의 화력이 무자비하게 쏟아지니...
커스토디안 가드 총 5명이 기지개도 피지 못하고 추가로 산화합니다.
뭘 해보기도 전에 2000포인트 중 515포인트 가량이 날아갔습니다.
미션도 나몰라라 해버린 채 총질에 전념한 엘다의 화력, 너무 강력했습니다.
알파 스트라이크(스폰킬)가 크리티컬하게 들어간 상황

1라운드 커가의 턴
미션은 오버흴밍 포스 / 익스텐드 배틀 라인즈
홀로 남아버린 커스토디안 가드의 배틀-쇼크(모랄빵) 테스트
하필 2D6 굴림에서 11을 띄워버린게 어이가 없어 사진으로 남기게 되었습니다.
현재 상황이 암울하다는 걸 주사위가 온몸으로 표현합니다.


인퀴지터 드락서스의 능력 사용
D6를 굴려 2+이 나오면 다음 본인의 턴까지,
18인치 바깥의 적에게 본인의 분대가 사격 면역을 받는 능력인데...
1이 떠서 대실패, D3 = 1 고정 데미지를 분대에 입히고 맙니다.

사격 페이즈
기가 팍 죽었지만, 어떻게든 전진하는 커가
사지타룸의 볼터가 30인치 바깥에 있는 샤이닝 스피어에 적중하여 전멸
남아있는 보병들이 볼터를 날려 다크 리퍼 둘 / 팔콘에서 뱉어진 파이어 드래곤 분대를 전멸시키나,
하필 파이어 드래곤에 붙어있던 아우타크가 생존하는데..
사격이 종료되자마자, 아우타크는 페이드 백 배틀 포커스를 사용해 건물 안으로 도망가버립니다.
사격 페이즈 종료 시점에 인나리의 특산품 리썰 인텐트가 발동,
효과로 팔콘이 노말 무브를 시전하여 커가 보병 반대쪽으로 도망가버리는 바람에?
커가의 앞에 차지를 박을 유닛이 아무 것도 없게 됩니다.
분명 있었는데.... 이제 없습니다.

인나리 쪽 유닛이 상대(커가) 사격 페이즈에 파괴되었기 때문에,
엘다 플레이어는 스트라타젬 데스 앤서 데스를 발동
레이스로드가 자기 턴인 것 마냥 사격하여, 커스토디안 가드 1명을 날려버립니다.
하필 엘다 측이 기갑도 날려버리는 브라이트 랜스를 꼬박꼬박 챙기고 있는게 화근이었습니다.
아무리 커가가 코뿔소 같더라도, 코끼리잡는 총알에는 얌전히 죽을 수 밖에 없습니다.


차지 페이즈
분명 차지 박을 친구들이 있었는데... 눈 앞에 아무도 없네요???
덩그러니 남은 커스토디안 가드 하나만 차지에 성공한 모습

운드 롤 주사위 굴림 마저 1이 4개 뜨는 억장 와르르맨션
이후 레이스로드의 반격을 맞아 커스토디안 가드 1명이 전멸합니다.
오브젝트 마커를 점령한 상대 유닛을 파괴하는 것도, 마커 자체를 점령하는 것도 모두 실패
모든 세컨더리 미션을 완수하지 못해 0점을 취득한 커가는 고스란히 차례를 넘기게 됩니다.


2라운드 엘다의 턴
미션은 스톰 호스틸 오브젝티브 / 사보타지
상대의 노림수를 모두 쳐내는데 성공한 인나리
거리낄 게 없어져 모든 병력을 전진,
그대로 바나나의 숨통을 압박하는데 집중합니다.

이브레인의 인큐비 부대들은 플리팅 섀도우즈 배틀 포커스를 받아,
오버워치(경계사격) 면역으로 광야를 내달립니다.
화염방사기를 들고 있는 위치시커 분대가 무용지물이 되는 순간

이대로는 질식사 당하는 커가
암바를 풀기 위해 빈 공간 건물 쪽으로 래피드 인그레스를 발동,
알라루스 터미네이터 분대 중 1개가 팔콘을 노리기 위해 강습합니다.
노리는 것은 다음 턴 레인저를 사격으로 전멸시키고, 팔콘까지 차지로 접속하는 것입니다.


사격 페이즈 Before & After
중앙 건물 뒤에 숨어있던, 마지막 파이어 드래곤 분대가 뛰쳐나와 중앙 마커 근처의 가드 분대를 녹여버립니다.
이외에도 드락서스의 가드가 2명, 블레이드 챔피언의 가드가 1명 사살당합니다.
이브레인의 안티 인팬트리(보병) 2+* / 데바스테이팅 운드* 사격 무기가 작렬,
사지타룸 커스토디안이 2명 줄어듭니다.
마지막으로 전장 후방에서 화력 지원 중이던 파이어 프리즘은 강하했던 터미네이터 1명을 날려버립니다.
---
* 안티 (x) n+ : 해당 무기가 x 키워드의 유닛을 공격할 때,
운드 롤을 굴려 주사위가 n 이상의 값(unmodified)이
나왔을 경우,
운드 롤이 무조건 성공하는 크리티컬 운드로 간주합니다.
* 데바스테이팅 운드 : 공격할 때 크리티컬 운드(통상적으로 운드 롤을 굴려 6) 발생 시,
무기의 데미지 수치만큼 모탈 운드를 입힙니다.
모탈 운드와는 다르게 데미지가 다른 모델에게 전이되지 않습니다.

차지 & 파이트
사실 엘다 측에서 커가한테 차지를 박을 이유가 만무하지만,
아우타크가 차지를 시도하여 커스토디안 가드 1명을 사살합니다.
곧장 반격을 맞아 죽어버렸지만, 게임에 큰 영향은 끼치지 못합니다.

2라운드 커가의 턴
미션은 그대로 유지입니다.
병력 차이가 너무 심합니다.
이만큼 전력의 누수를 메꾸기 어려운 상황에선 사실상 도박수 말고는 다른 방법이 없습니다.

파이어 프리즘과 다크 리퍼 분대의 뒷편에 나머지 터미네이터 분대를 딥 스트라이크합니다.
이제 사격 무기로 레인저 / 다크 리퍼를 전멸
이후 차지로 팔콘 / 파이어 프리즘을 깔끔히 전부 잘라내야 다음 라운드를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하나라도 실패한다면 인카른이 달려올 것이기 때문에, 미래는 없습니다.
딥스 차지는 9+ 이상의 성공값을 요구하기에, 굉장히 가혹한 요구입니다.
그러나 쉴드-캡틴의 CP할인 능력을 받는다면, 무료로 리롤을 굴리는 거나 다름없는 상황
2번의 차지 굴림으로 반드시 파이어 프리즘에 닿아야합니다.

사지타룸 커스토디안이 인큐비를 향해 사격하나,
엘다 측은 대응책으로 마카브레 리질리언스를 발동
운드 롤 -1 디버프를 적용시켜 고작 2데미지만 허용하고 완방에 성공합니다.

이어서 엘다 측은 배틀 포커스 페이드 백을 선언
인나리 디태치에서 페이드 백은 리썰 서지로 강화되는데,
상대 인게이지(근접전) 범위를 침범 가능한 이동으로 효과가 강화됩니다.
이걸 통해 사지타룸 분대에 붙어버리더니, 파이트의 선공권을 홀라당 가져가버립니다.*
거기에 근접전에 붙어버린 바람에, 위치시커의 사격이 놀아버리는 악순환이 발생해버립니다.
---
* 파이트 퍼스트, 차지 보너스가 없다면, 파이트의 대전제는 방어자가 우선순위를 가집니다.
즉, 커가의 턴에선 방어자인 인큐비 쪽이 우선순위를 가져간다는 뜻


터미네이터의 사격으로 다크 리퍼와 레인저 분대가 전멸합니다.
그러나 또 다시 데스 앤서 데스를 발동하여 커스토디안 가드 분대가 전멸합니다.
보디가드를 잃은 블레이드 챔피언은 홀로 뛰어가야하는 상황
이것이 엘다의 '모르면 맞아야지' 아닌가 싶습니다.
커스토디안 가드 보디가드가 전멸하나, 그럼에도 달려야합니다.
어떻게든 엘다 기갑을 잡아내야 미래가 보이기 때문...

파이어 프리즘 쪽은 결국 차지에 실패합니다.
CP 리롤을 선언하였으나 9인치에 닿지 못해 차지는 물거품이 되어버렸고,
결국 남은건 팔콘 쪽에 붙게된 보병들의 파이트

그러나 아까 데스 앤서 데스로 인원이 줄은 탓 인가...
아니면 파이어 프리즘에 터미네이터가 하나 줄었던 탓 인가...
팔콘이 3운드를 남기고 생존
딱 블레이드 챔피언이 1대만 더 통과시켰더라면...
딱 1명만 덜 죽었으면 저 팔콘을 터트렸을텐데...
인나리의 막강한 대응 앞에 바나나는 너무 무력합니다.

더 이상 게임을 속행하기엔 유닛이 너무나도 줄었습니다.
터미 분대 2개
블레이드 챔피언 1개
근접전에 걸린 사지타룸
위치시커 2개 분대
드락서스와 가드 1명
더 이상 게임을 지속할 수 없다 판단한 커가 측이 서렌더를 선언합니다.

인나리 측의 완벽한 대응에 속수무책으로 당했습니다.
보병 사격이 끝나면 차지를 차단하고자 도망가버리는 방법이 있었으며,
다가오는 적에게 오버워치(경계사격) 하려해도 종특으로 면역을 받고 달려버리는 불합리함
T3이라는 물몸의 단점은 오히려 반격의 발판으로 삼아, 상대 턴에 사격한다는 대응으로 승화됩니다.

분명 2+ 힛 / 2+ 투운드라는 신규 커가 디태치의 특전이 강력하게 다가오긴 했으나,
상대 대응이 너무 완벽했습니다.
다음 리포트도 패배한 내용을 써야하는지라, 써내리는게 마냥 쉽지는 않을 것만 같습니다.
이번 판은 엘다 측이 너무 잘난 판이었습니다.
728x90
'워해머 40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해머 40K 배틀리포트 : 커스토디안 가드 VS 카오스 데몬 (1) | 2025.05.18 |
---|---|
워해머 40K 배틀리포트 : 커스토디안 가드 VS 엠퍼러스 칠드런 (5) | 2025.05.11 |
워해머 40K 배틀리포트 : 커스토디안 가드 VS 진스틸러 컬트 2편 (0) | 2025.04.20 |
워해머 40K 배틀리포트 : 커스토디안 가드 VS 울트라마린 (1) | 2025.04.06 |
40K 로스터를 그립시다 - 5편(싸우전드 썬즈 편) (0) | 2025.03.30 |
2025 하비페어 산이공방 후기 (0) | 2025.03.24 |